재고관리란 무엇인가?
재고관리의 정의
재고관리는 기업이 보유한 제품, 반제품, 원재료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입니다.
단순히 재고 수량을 관리하는 것을 넘어 재고의 위치 확인, 입출고 흐름 파악, 필요 재고 수량 예측 등
판매/구매/생산 전반에 필요한 재고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재고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과잉 재고로 인한 비용 손실이나, 재고 부족으로 인한 납기 지연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곧 기업의 손실로 이어지므로 기업 경영에 있어 효율적인 재고관리는 필수입니다.

재고의 유형
1) 원재료 (Raw Materials)
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자재를 의미하며
생산 공정에 투입되어야 할 초기 단계의 재고입니다.
2) 부자재 (Sub Materials)
제품을 직접적으로 구성하진 않지만 포장, 마감 등을 위해 사용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재고입니다.
3) 재공품 (WIP:Work In Process)
가공 중이거나 다음 공정을 기다리고 있는 미완성품으로
판매 및 출고가 불가능한 재고입니다.
4) 반제품 (Semi-Finished Goods)
제조 과정 중간 단계에 있는 상태로, 일정 부분 완성되었지만 추가적인 가공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재공품과 달리 반제품은 판매가 가능합니다.
5) 완제품 (Finished Goods)
모든 제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제품으로
소비자나 고객에게 판매/유통할 준비가 완료된 상태의 재고입니다.

재고관리가 중요한 이유
1) 불필요한 비용 절감
재고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면 재고 보관, 폐기 등에 필요한 추가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재고 수요 예측
현재 보유 중인 재고 수량, 납기일자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고 수요를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3) 재고 부족 방지
입/출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재고 부족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운영 효율성 향상
입고/출고/생산 등 재고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작업 시간과 인력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카운트를 활용한 효과적인 재고관리
1. 실시간 재고 보고서 확인
- 판매, 구매, 생산 등을 입력하면 재고 입/출고 내역이 재고 보고서에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 재고현황, 창고별재고현황, 재고수불부 등 다양한 재고 보고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창고/공장별 재고관리
- 창고, 공장 개수에 제한이 없어 재고관리에 필요한 만큼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재고 이동 내역을 입력할 수 있고 외주공장의 재고 관리도 가능합니다.
3. 최적의 발주 수량 계산
- 보유 재고, 입고 예정 수량, 생산 계획 등을 토대로 발주수량을 자동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 계산된 발주 수량을 발주서로 연동해 인쇄하거나 거래처 이메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4. 적정 재고 수준 유지
-
이카운트에서는 품목별, 창고별로 안전재고 수량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재고 보고서에서 안전재고 미만인 품목은 붉은색 음영으로 표시되어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담당자는 이를 확인하여 미리 재고를 구매/생산해 재고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